설교제목 : 성도의 3가지 언어
설교본문 : 골로새서 3장 16절 ~ 17절
설 교 자 : 한승엽 목사
설교일자 : 2025년 03월 02일
설교영상 :
설교요약 :
우리가 예수님을 믿으면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도 새로워져야 합니다. 교회 다니는데 우리가 쓰는 언어가 복음의 언어가 아닐 때가 있습니다. 그것을 세상의 언어, 율법의 언어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 믿음이 들어가면 그 사용하는 언어가 바뀌는 것이 믿음입니다. 우리가 은혜를 받으면 언어가 변화됩니다. 복음의 언어는 말씀의 언어인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3종류 중의 하나입니다(세상, 율법, 복음).
성도의 3가지 언어는?
1. 세상의 언어를 버려야 합니다.
세상의 언어는 그 언어 구조가 이 세상의 사회 구조가 그렇듯이 세상의 언어는 그 언어 구조의 기본이 경쟁의 언어입니다. 창세기 11장에 보면 바벨탑을 쌓는 곳에서의 언어를 보니까 경쟁하고 분열시키는 언어입니다. 지금 정치권을 보면 세상의 언어가 난무하여 마음이 아픕니다. 예전에는 전라도냐, 경상도냐 끊임없이 분열하는 언어가 난무해서 나라가 어려웠는데 요즘은 세대 간에 분열로 나라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세상의 언어를 복음의 언어로 바꾸는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일상 대화에서 복음 적용: 친구와의 대화에서 단순히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대신,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이야기하며 복음을 자연스럽게 나눕니다. ②직장에서의 복음 실천: 직장에서 동료와의 갈등 상황에서 복음의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③가족과의 시간: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때, 예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방법을 실천합니다. ④건강 관리: 자신의 건강을 돌보는 과정에서 예수님의 몸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실천합니다. ⑤신앙전수: 자녀에게 복음을 가르치고, 예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줍니다.
2. 율법의 언어를 버려야 합니다.
세상의 언어가 상대방을 이겨야 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세상의 언어가 경쟁의 언어라면 이 율법의 언어는 정죄의 언어, 죽음의 언어입니다. 율법으로 계속 정죄하는 것입니다. 교회 안에 은혜가 안 되는 교회를 보면 이 율법의 언어가 굉장히 난무합니다. 계속 다른 사람을 탓하고, 지적하는 것입니다. 예수님 당시에 끊임없이 예수님을 괴롭히고 또 예수님을 또 정죄하고 비난했던 그 바리새인들이 주로 얘기하는 말이 율법의 언어였습니다. 예수님이 안식일에 손 마른 장애인을 고쳐주니까 그 손 마른 장애인이 고침을 받고 너무너무 행복해서 춤을 추는 것은 안중에도 없고 “아니 안식일에 병을 고쳐?” 하며 트집 잡는 것이 율법의 언어입니다. 이러한 율법의 언어는 복음의 언어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부정적인 언어를 보여줍니다. ①비난: 사람들의 잘못이나 실수를 지적하며 비난하는 언어입니다. ②정죄: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고 정죄하는 언어입니다. ③비하: 다른 사람을 비하하거나 무시하는 언어입니다. ④위협: 협박하거나 위협하는 언어입니다. ⑤차별: 특정 집단이나 사람을 차별하는 언어입니다. "복음의 언어"는 이러한 언어 대신, 예수님의 사랑과 용서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이고, 사랑스러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며,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욱 깊고 넓고 높고 풍성해질 수 있습니다.
3. 복음의 언어를 말해야 합니다.
복음의 언어는 예수님의 정신과 가르침이 그 삶을 관통하는 언어입니다. 복음의 언어는 예수님이 사복음서에서 가르쳤던 복음의 정신을 이야기하는 언어입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복음의 언어는 예수님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복음의 언어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감사와 찬양: 일상 속에서 작은 일에도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찬양하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②용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받을 때, 예수님의 용서를 본받아 용서의 언어를 사용합니다. ③격려: 친구나 가족이 힘들어할 때, 복음의 메시지를 바탕으로 격려하고 힘을 주는 말을 합니다. ④기도: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께 기도하며 믿음을 고백하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⑤배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섬기는 마음으로 말하는 언어를 실천합니다. 이러한 복음의 언어는 우리의 삶과 대화 속에서 예수님의 사랑과 가르침을 드러내며, 주변 사람들에게 하나님 나라 복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적용 : 일상에서 복음의 언어를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복음의 유창성: 복음의 언어에 유창해지기 위해서는 복음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말하고, 삶으로 드러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을 믿었을 때의 감동을 잊지 않고, 끊임없이 예수님에 대해 이야기하며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위드바이블, 풍성한 삶, 목장모임 지속적으로 참여). ②가정과 공동체에서의 적용: 가정과 공동체에서 복음의 언어를 실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 식사 때마다 예수님을 기억하고, 자녀에게 복음을 가르치며, 가정 곳곳에서 복음의 말씀을 잘 보이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복음의 안경으로 세상 해석하기: 복음의 언어에 유창한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이 하신 일을 통해 모든 것을 생각하고, 느끼고, 감사하는 사람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복음의 안경으로 해석하고 반응하기를 기뻐하십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 교회에 이제 점점 세상의 언어, 율법의 언어를 버리고 복음의 언어가 유창해지는 성도들이 더욱 많아질 수 있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합니다.